올해 제72회 칸 영화제에서 봉준호감독이 <기생충>이라는 작품으로 심사위원 만장일치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올린 바 있죠. 영화 마니아로써 참 자랑스럽고 뿌듯한 순간이었는데요. 과거 한국영화들은 어떤 상을 탔을까 궁금해서 자료들을 찾아보니 생각보다 많은 수상내역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역대 해외영화제에서 수상한 한국영화들과 배우,감독에 대해 정리해볼까 합니다.
자료들을 조사하고 정리하다보니 국내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인물들도 몇몇 눈에 띄더라구요. 논란이 있긴 하지만 어쨌든 본인들의 능력으로 해외에서 인정을 받았고 상을 탔다는 사실 자체를 부정할 순 없기 때문에 포스팅 내용에서 따로 제외하진 않았습니다.
한국을 빛낸 영화&영화인, 해외영화제 수상내역

마부

마부(1961)
|
감독 강대진/ 출연 신영균,김승호,황정순
1961년 제 11회 베를린영화제 특별은곰상 수상 (강대진)
|
이 생명 다하도록

이 생명 다하도록 (1960)
|
감독 신상옥/ 출연 김진규,최은희,전영선
1962년 제12회 베를린영화제 특별은곰상 (신상옥), 아역상 (전영선)
|
신상옥 감독이 연출한 작품으로 한국전쟁때 부상을 입고 퇴역한 육군장교의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라고 합니다.
여인잔혹사 물레야물레야

여인잔혹사 물레야물레야(1984)
|
감독 이두용/ 출연 원미경,신일룡,문정숙
1984년 제37회 칸영화제 ‘주목할만한 시선’ 초청작, 비경쟁부문 우수작 선정
1984년 제20회 시카고영화제 촬영상
|
강수연


강수연
|
1987년 제44회 베니스영화제 최우수 여우주연상 (씨받이)
1988년 제16회 모스크바영화제 최우수 여우주연상 (아제아제바라아제)
1988년 낭트영화제 여우주연상
|
저에게는 드라마 ‘여인천하’에서 매회 엔딩장면을 독차지하던 정난정으로 기억되는 배우지만, 부모님 세대에게 물어보면 정말 대단했던 배우라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남자배우,여자배우 통틀어 한국영화계 부동의 원탑으로 맹활약한 원조 월드스타죠.
아시아권 영화제가 아닌 세계 4대영화제에서 2번이나 여우주연상을 받은 한국배우는 현재로써는 강수연이 유일합니다.
신혜수

신혜수
|
1988년 제12회 몬트리올 영화제 최우수 여우주연상 (아다다)
|
은마는 오지 않는다

은마는 오지 않는다(1991)
|
감독 장길수/ 출연 이혜숙,방은희,김보연,손창민
1991년 제15회 몬트리올영화제 최우수 각본상(장길수), 최우수 여우주연상 (이혜숙)
|
이덕화

이덕화
|
1993년 모스크바국제영화제 최우수 남우주연상 (살어리랏다)
|
임권택

임권택
|
제1회 상해영화제 감독상 (서편제)
2002년 칸 영화제 감독상 (취화선)
2005년 베를린영화제 명예황금곰상
|
오아시스


오아시스
|
감독 이창동/ 출연 문소리,설경구
2002년 베니스 영화제 감독상(이창동),신인배우상(문소리),국제영화평론가협회상
|
박찬욱

박찬욱
|
2004년 칸 영화제 심사위원 대상 (올드보이)
2009년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 (박쥐)
|
공동경비구역JSA, 복수는 나의것, 올드보이, 친절한 금자씨, 박쥐 등등 수많은 명작들을 연출하면서 세계에서도 거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어두운 소재를 타이트하게 연출하는 능력이 뛰어나신 분이죠.
장준환
장준환
|
2003년 모스크바영화제 감독상 (지구를 지켜라)
|
배우 문소리의 남편이자 <화이:괴물을 삼킨아이>,<1987> 등을 연출한 바 있는 장준환 감독도 모스크바 영화제에서 <지구를 지켜라> 라는 작품으로감독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지구를 지켜라>는 코믹납치극으로 마케팅을 하는 바람에 국내에선 흥행에 실패했습니다.
전도연

전도연
|
2007년 제 60회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 (밀양)
|
김기덕
김기덕
|
2004년 베를린국제영화제 감독상 (사마리아)
2004년 베니스영화제 감독상,미래비평가상 (빈집)
2012년 베니스영화제 황금사자상 (피에타)
|
이분도 많은 상을 받으셨네요. 우리나라보다 세계에서 더 인정받는 감독이라고 합니다.
김민희

기생충

윤여정

윤여정 |
2021년 미국배우조합상(SAG) 여우조연상 2021년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여우조연상 2021년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 여우조연상 |
연기잘하기로 정평이 나 있는 여배우 윤여정이 남녀 포함 한국 배우로는 최초로 아카데미 배우상을 수상했습니다. 정말 놀랄만한 쾌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 배우로는 두번째라고 하죠. 그녀의 연기 행보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늘 응원하는 마음입니다.
2022년 제75회 칸영화제 – 박찬욱 감독상(헤어질 결심)
2022년 제75회 칸영화제 – 송강호 남우주연상 (브로커)
1984 시카고영화제 최우수촬영상 (땡볕)1986 시카고영화제 세계평화메달상 (길소뜸)1989 로카르노영화제 최우수작품상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1990 낭뜨영화제 여우주연상 심혜진 (그들도 우리처럼)1993 상해영화제 여우주연상 오정해 (서편제)1994 낭뜨영화제 여우주연상 최명길 (장미빛 인생)1999 깐느영화제 심사위원상 (소풍)2001 로카르노영화제 여우주연상 김호정 (나비)2003 스톡홀름 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 문소리 (바람난가족)2010 제28회 뮌헨 국제영화제 최우수작품상 (마더)2013 로마국제영화제 감독상 봉준호 (설국열차)2017 미국 오스틴영화비평가협회 최우수 외국영화상 (옥자)2019 시드니 국제 영화제 대상 (기생충)